본문 바로가기

3_____Writing Practice/366일 영어 일기 (2202-2302)

영어 일기 Q109 - 220523MON

 

0523 Q109.m4a
1.40MB

Q109 - 220523MON

Q109. Are you a perfectionist or fairly easygoing?

당신은 완벽주의자인가요? 아니면 꽤 느긋한 사람인가요?

 

Sample diary entry written by the author of this book.

I'm fairly easygoing. No one can ever be perfect, so it's best to just do as well as you can. Striving for perfection will only lead to disappointment.

 

My answer to this question.

I am surely both, but a more easy going type.

I used to be quite a perfectionist for a long time and sometimes it was making me do everything slower and harder.

Everyone keeps making mistakes and people are not good at things at the beginning.

You can fail your plans or goals even while you are putting in big efforts.

I used to tear up the pages from notes often if I don't like the part I made, even a tiny mistake, but now I never do this kind of behavior because small mistakes are not bothering me anymore.

Doing things without too high standards and expectations is rather helpful for me to achieve things even better.

If I become used to it or good at it, then I start being a perfectionist slowly.

Of course, you can improve your skills better if you have high expectations of yourself.

People think that I am too easy going or too strict for myself, and I agree both describe me.

If I am bothered with something I have done or mistakes, I try to remind myself with the quote, "Life is messy, that's how we're made." from the TV show Grey's Anatomy.

 

Today's gratitude diary.

I appreciate the beginning of this new week.

I had a lot of obstacles but I smashed them.

Giving great haircuts at work and home, having great feedback from clients, and having a lovely dinner.

One thing I am sorry for Isaac was making him wait for one and half hours because of extended work.

I might have to drive work myself on Sundays.

 

Words 311 of 68503

Characters 1640 of 325410

Characters excluding spaces 1348 of 262481

 

이 책의 저자가 쓴 일기 예문.

나는 꽤 느긋하다. 그 누구도 완벽할 수 없으니 그저 할 수 있는 만큼만 하는 것이 최선이다. 완벽하려고 애써 봐도 결국은 실망할 뿐이다.

 

이 질문에 대한 나의 대답.

나는 확실히 둘 다이지만, 좀 더 태평한 타입에 가깝다.

나는 오랫동안 꽤 심하게 완벽주의자였고 때때로 그것은 나를 모든 일에 더디고 더 힘들게 만들었다.

모든 사람들이 계속 실수를 하고 처음에는 잘 하지 못하는 게 당연하다.

큰 노력을 기울였는데도 계획이나 목표를 실패할 수도 있다.

아주 작은 실수라도 내가 실수한 부분이 마음에 들지 않으면 노트 페이지를 자주 찢어 버리곤 했지만 이제는 그런 종류의 작은 실수가 더 이상 나를 괴롭히지 않기 때문에 그런 행동은 더이상 절대 하지 않는다.

너무 지나치게 높은 기준과 기대치 없이 일을 하는 것은 오히려 내가 일을 더 잘 성취하는 데 도움이 되기도 한다.

만약 내가 그것에 익숙해지거나 잘하게 된다면, 나는 서서히 완벽주의자가 되기 시작한다.

당연히, 자신에 대한 기대가 크면 기술을 더 잘 향상시킬 수 있다.

사람들은 내가 너무 태평하게 행동하거나 반대로 너무 완벽주의자라고 생각하지만, 나는 둘 다 나를 묘사할 수 있다는 것에 동의한다.

만약 내가 했던 일이나 실수 때문에 신경이 쓰이거나 골머리를 앓는다면, 나는 TV 쇼 '그레이 아나토미'에서 인용한 "인생은 엉망이고, 우리는 그렇게 만들어졌다."라는 말을 스스로에게 상기시키려고 한다.

 

오늘의 감사일기.

새로운 한 주가 시작된 것에 감사하다.

나는 여러 장애물을 이겨내고 그것을 전부 잘 해냈다.

직장과 집에서 좋은 헤어컷들을 자르고, 고객들로부터 좋은 피드백들을 받고, 좋은 저녁을 먹었다.

아이작에게 한 가지 미안한 점은 일이 길어져서 1시간 30분을 기다리게 한 것이다.

앞으로 일요일에는 내가 직접 운전해서 출근해야 할지도 모르겠다.

 

반응형